Holt's 70th Anniversary...(한국어는 아래에 있습니다)
Thank you and Congratulations to Holt for serving the needs
of children for 70 long years!
So sorry I couldn't make it to this momentous occasion in Seoul on September 26,
2025.
While there are some conflicting voices for and against the intercountry
adoption program practiced by Korea for 70 years, I am truly grateful that I
was given a new chance at life to be who I am today.
The memories of my true parents in John and Margaret
Morrison, and my four siblings that loved me, I can't thank enough for the
family that I was blessed with. And the opportunity the adoption has brought me
to the point of being a voice for homeless children in Korea through MPAK.
I refuse to bow to the negative narratives that claim that
we were taken from our birth parents and sold overseas, and robbed of our
identities, language, and culture.
I refuse to believe such nonsense claim that adoption was a
form of neocolonialism by a strong nation against a weaker nation.
I refuse to believe that adoption causes separation of
children from their biological families. Instead, adoption is a response to
already separated children that need homes. It was meant to be a solution to
already separated and traumatized children.
I refuse, because I know, and have lived and experienced
what our lives would have been like in orphanages, with little or no chance of
being reunited with birth parents, which so many orphans want.
I know because I lived in an orphanage for eight years
before being adopted. And I have met countless numbers of orphans that long for
families of their own but can't.
Agencies like Holt and others deserve praise rather than blame
and criticism, because they responded to the needs of the children when nobody
wanted them or cared.
Unfortunately, there have been some mistakes in matching
some children with parents that did not qualify to raise them, resulting in abuses,
discrimination, conflicts and lots of pain. These were experienced by many
adoptees.
We should not ignore these tragedies. However, these
imperfections, while very unfortunate, do not represent all adoptions. Significant
majority of adoptions turned out well.
We must acknowledge the fact that just as there are
imperfect biological parents, there are imperfect adoptive parents. The laws
have evolved over the years to improve the process of finding better qualified
parents, but at the expense of fewer adoptions taking place, which is also an
unfortunate byproduct. In the old days when the laws governing the processes
were immature. Can you fault the acceptable practices by agencies or the
government with today's laws?
I'd rather side with the positive side of adoption and move
on with what's been given in my life. Of course, I could have chosen to be
negative like many other adoptees, and I certainly had many reasons to. Not against
the Morrison family, but the cultural practices in Korea that discriminated
against the people with orphan backgrounds. Unfortunately, this evil still exists
today. It's a choice that one must make
and move on and make yourself a better person. I can't change what was done for
me in the past.
If you continue to wallow in the negative and blame others
for your predicament, that is a very unfortunate choice. Pick yourself up and
move on. Put the past behind you as it will continue to hold you down.
One must realize that the real root of the problem lies with
unwed mothers, for whatever the reasons, they decided to give children up for
adoption, and in many cases simply abandoned them. Can you fault the agencies
that responded to the needs of the children? Doesn’t the blame also lie with
unwed parents for giving up or abandoning their children in the first
place? I am all for changing the culture
where unwed parents can keep and raise their children and the campaign should
be made to change this culture. However,
this is not done. Instead, the agencies are being blamed. It’s all about misplaced blame.
As for me, I thank you, Holt, for serving the children for
the past 70 years with the vision of Harry Holt, "Every Child Deserves a
Home of His Own." While you were robbed of the adoption duties by the
government, keep holding onto this principle and may you continue to advocate
for the Least of These Children that Jesus spoke about.
Happy 70th Anniversary!
7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아이들의 필요를 채워 준 홀트에 감사드리며 축하를 전합니다. 2025년 9월 26일 서울에서 열리는 이 중요한 행사에 참석하지 못해 송구스럽습니다. 한국이 70년 동안 시행해 온 해외입양 프로그램을 두고 찬성과 반대의 목소리가 교차하는 가운데, 오늘의 제가 될 수 있도록 새로운 인생의 기회를 열어 준 홀트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저의 진정한 부모님이 되어 주신 존 모리슨 아버지와 마가렛 모리슨 어머니, 그리고 저를 사랑해 준 네 형제자매와의 소중한 추억, 그리고 가정을 통해 받은 수많은 축복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또한 MPAK을 통해 국내 입양을 알리고, 가정이 필요한 아동들을 위해 대변인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가 저에게는 매우 소중합니다.
저는 입양에 대한 부정적이고 왜곡된 여러 주장들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
아이들이 해외입양을 통해 친부모로부터 분리되어 해외로 팔려가고, 그 과정에서 정체성·언어·문화를 빼앗겼다는 주장에는 절대로 동의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떤 입양인 교수가 “입양은 강한 국가가 약한 국가를 지배하며 만들어낸 신식민지주의(Neo-Colonialism)의 한 형태”라고 말한 주장 역시 전혀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더 나아가 입양이 아이들을 원가족으로부터 강제로 분리시킨다는 터무니없는 주장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습니다. 사실, 입양은 이미 분리된 아동을 위한 해결책이지, 분리의 원인이 아닙니다.
저는 여러 보육원을 방문하며, 친부모와 다시 만나 함께 살기를 간절히 바라는 많은 아동들을 만났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친부모와 재결합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직접 알고 경험한 저로서는, 입양이 아니었다면 우리 삶이 어떻게 되었을지 똑똑히 알기에 그런 왜곡된 주장들을 도저히 수용할 수 없습니다.
입양되기 전 저는 8년 동안 한국에서 가장 좋은 시설 중 하나였던 홀트일산복지타운에서 생활했기 때문에 잘 알고 있습니다. 그곳에서 저는 입양을 통해서라도 가족을 만나기를 간절히 원하는 수많은 고아들을 보았습니다.
홀트와 다른 기관들은 당시 한국 사회가 아동들에게 큰 관심을 두지 않았을 때, 입양을 통해 가정을 찾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므로 비난과 비판보다는 칭찬을 받아야 마땅한 단체들입니다.
물론 불행하게도 일부 아동들이 양육에 적합하지 않은 부모와 연결되는 몇 가지 실수가 있었고, 이로 인해 학대·차별·갈등과 같은 고통을 겪은 사례도 있습니다. 많은 입양인들이 이러한 아픔을 경험했습니다. 우리는 이 비극을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불완전함이 모든 입양을 대표할 수는 없습니다. 실제로 입양의 대다수는 좋은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세상에 불완전한 친부모가 있는 것처럼 불완전한 양부모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더 나은 부모를 찾기 위한 절차와 법률은 수년에 걸쳐 발전해 왔고, 그 과정에서 입양 건수가 줄어드는 아쉬움도 따랐습니다. 그러나 과거 아직 제도가 미비했던 시절의 관행을 오늘날의 잣대로만 비난할 수는 없습니다.
저는 입양의 긍정적인 면을 선택하며, 제 삶에서 주어진 운명을 계속 이어가고 싶습니다. 물론 저 역시 다른 많은 입양인들처럼 부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도 있었고, 그렇게 할 이유도 충분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우리가 스스로의 미래를 어떤 선택으로 살아가느냐, 그리고 어떻게 자신을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 나가느냐 하는 점입니다. 과거의 비극은 바꿀 수 없는 사실이기에, 과거에 머무르기보다는 앞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계속해서 부정적인 생각에 빠져 남을 탓하는 것은 불행한 선택일 뿐입니다. 과거의 불만에 사로잡혀 있다면 손해는 결국 자기 자신에게 돌아옵니다.
입양 문제의 근본에는 미혼모 현실이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그들은 여러 이유로 아이를 양육하지 못해 포기하기로 결정했으며, 때로는 단순히 버리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아이들의 필요를 채워 준 기관을 탓할 수 있을까요? 처음부터 자녀를 포기하거나 버린 부모에게도 책임이 있습니다. 저는 미혼모가 자녀를 키울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 가는 데 전적으로 찬성하며, 이를 위한 사회적 캠페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대신 일부는 입양을 반대하며 기관들을 향해 온갖 잘못된 비난을 퍼붓고 있습니다.
저는 지난 70년 동안 “모든 아동은 가정에서 자랄 권리가 있다”는 해리 홀트 할아버지의 비전을 따라 아이들을 섬겨 준 홀트에 감사드립니다. 최근 정부에 의해 입양 업무가 축소되는 상황에서도 이 원칙을 지키며,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이 작은 아이들’을 위해 계속 헌신하기를 바랍니다.
홀트의 70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